클로드 프롤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드 프롤로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에 등장하는 인물로,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이다. 그는 학식이 높고 종교적인 권위를 지녔지만, 내면에는 억압된 욕망과 광기를 품고 있다.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를 향한 뒤틀린 애정으로 인해 페뷔스를 칼로 찌르고 에스메랄다에게 누명을 씌우는 등 악행을 저지르며 파멸한다. 프롤로는 여러 영화, 뮤지컬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각색 과정에서 그의 성격과 역할에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연금술사 - 라스 알 굴
라스 알 굴은 라자러스 핏을 이용하여 수 세기 동안 생명을 연장하며 세계 균형을 위해 인류를 제거하려 하고 배트맨을 후계자로 삼으려는 DC 코믹스의 국제적인 범죄자 악당이다. - 가공의 연금술사 - 빅터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주인공인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스위스 제네바 출신의 명문가 자제로, 시체를 조립해 인간형 생명체를 창조하지만 그 창조물에게 복수당하고 죄책감에 빠져 창조물을 추적하다 사망하는 인물이다. - 파리의 노트르담의 등장인물 - 페뷔스 드 샤토페르
페뷔스 드 샤토페르는 《노트르담 드 파리》의 등장인물로, 원작에서는 자만심 강한 바람둥이이지만 미디어 믹스 작품에서는 긍정적인 면모가 강조되어 에스메랄다의 사랑 상대로 등장하며,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뮤지컬 등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된다. - 파리의 노트르담의 등장인물 - 콰지모도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의 꼽추》 등장인물인 콰지모도는 흉측한 외모와 달리 순수한 마음을 지닌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로, 에스메랄다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과 외모지상주의 비판이라는 상징성을 통해 다양한 작품으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 - 1831년 창조된 가공인물 - 페뷔스 드 샤토페르
페뷔스 드 샤토페르는 《노트르담 드 파리》의 등장인물로, 원작에서는 자만심 강한 바람둥이이지만 미디어 믹스 작품에서는 긍정적인 면모가 강조되어 에스메랄다의 사랑 상대로 등장하며,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뮤지컬 등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된다. - 1831년 창조된 가공인물 - 콰지모도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의 꼽추》 등장인물인 콰지모도는 흉측한 외모와 달리 순수한 마음을 지닌 노트르담 대성당의 종지기로, 에스메랄다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과 외모지상주의 비판이라는 상징성을 통해 다양한 작품으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
클로드 프롤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클로드 프롤로 |
원어 이름 | Claude Frollo |
영어 | Claude Frollo |
등장 작품 | 노트르담 드 파리 |
첫 등장 날짜 | 1831년 3월 16일 |
창조자 | 빅토르 위고 |
직업 |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 |
소속 | 교회 구성원 |
직함 | 돔 |
가족 | 제앙 프롤로 (동생) |
자녀 | 콰지모도 (양자) |
종교 | 가톨릭교 |
국적 | 프랑스 |
![]() |
2. 작중 행적
클로드 프롤로는 어린 시절 부모를 흑사병으로 잃고 동생 장과 함께 고아가 되어 수도원에서 자랐다. 학문에 정진하여 부주교가 되었지만, 음침하고 고립된 성격이었다. 콰지모도를 입양해 아들처럼 돌봤고, 콰지모도가 귀머거리가 되자 수화를 가르치는 등 온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여러 분야에 통달한 학자였지만, 연금술에 손을 대면서 마술사라는 소문에 휩싸이기도 했다. 운명론적 신념과 여성에 대한 극심한 공포증을 가지고 있었다.[7]
에스메랄다를 만난 후, 프롤로는 억눌렸던 욕망에 휩싸였다. 에스메랄다를 악마의 유혹이라 여기면서도 그녀를 향한 뒤틀린 열정을 멈추지 못했다.
프랑스 왕가의 명령으로 에스메랄다가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끌려나와 처형될 위기에 처하자, 부랑자 무리가 성당을 공격한다. 콰지모도가 이들과 싸우는 동안, 프롤로는 그랭구아르와 함께 에스메랄다를 빼돌려 탈출을 시도한다. 그는 에스메랄다에게 자신을 받아들이거나 죽음을 택하라고 강요하지만, 에스메랄다는 거부한다.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은둔자에게 넘기고 성당으로 돌아와 탑에서 에스메랄다의 처형을 지켜본다. 에스메랄다가 교수대에 매달리자 악마처럼 크게 웃고, 이를 본 콰지모도는 분노하여 프롤로를 밀어 떨어뜨린다. 프롤로는 가고일에 매달려 콰지모도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콰지모도는 침묵했고, 결국 프롤로는 추락사한다.[1]
2. 1. 유년 시절과 성직 입문
클로드 프롤로는 유년기에 부모가 흑사병으로 사망하여 갓난아기였던 남동생 쟝과 함께 고아가 되었다.[7] 생계를 위해 일찍이 수도원에 들어갔다. 늘 학문을 탐구하여 학식이 높았지만 무뚝뚝하고 음침한 사람이었다. 뛰어난 식견으로 부주교 자리에 올랐고, 작중 내내 부주교로 등장한다.[7]2. 2. 콰지모도와의 관계
콰지모도는 부활절 다음 첫 일요일인 콰지모도 일요일에 노트르담 대성당의 고아원 침대에서 발견된 기형의 곱사등이 유아였다. 버려진 콰지모도를 클로드 프롤로가 발견하여 입양한다. 프롤로는 콰지모도에게 이 휴일의 이름을 따서 "콰지모도"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친아들처럼 키웠다. 콰지모도가 대성당의 종지기 역할을 하면서 종소리에 귀가 멀게 되자, 프롤로는 콰지모도에게 수화를 가르치는 등 깊은 애정을 보여주었다.[1]2. 3. 에스메랄다를 향한 집착
에스메랄다를 처음 본 순간, 프롤로는 그녀에게 사로잡힌다. 에스메랄다를 악마가 자신의 믿음을 시험하기 위해 보낸 유혹이라 여기며 저주하지만, 결국 욕망을 이기지 못하고 유혹에 굴복하기로 한다. 하지만 에스메랄다는 프롤로의 끈질기고 뒤틀린 열정에 두려움을 느낀다.[8]프롤로는 콰지모도에게 에스메랄다 납치를 명하지만, 콰지모도가 근위대장 페뷔스에게 체포되자 혼자 도망친다. 콰지모도가 죄인 공시대에 묶여 고문당하는 모습을 보고도 외면한다.
에스메랄다가 페뷔스와 사랑에 빠졌다는 사실을 알게 된 프롤로는 질투심에 사로잡혀 둘의 만남을 미행하고, 결국 페뷔스를 칼로 찌른다. 이 일로 에스메랄다는 살인 및 마녀 누명을 쓰고 재판을 받는다.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위해 탄원하는 대신, 그녀가 고문당하는 모습을 보고 칼로 자해한 상처를 보여주며 자신의 사랑을 증명하려 한다. 하지만 에스메랄다의 마음은 변하지 않는다.[1]
에스메랄다의 처형 전까지 마음을 돌리는 데 실패한 프롤로는 광기에 휩싸여 파리를 떠난다. 콰지모도가 에스메랄다를 구출한 사실을 모른 채 돌아온 그는, 에스메랄다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사실에 콰지모도에게 질투심을 느낀다. 이후 에스메랄다가 피신해 있는 성당에서 그녀를 겁탈하려다 콰지모도에게 저지당한다. 한계에 다다른 프롤로는 결국 에스메랄다를 군중에게 넘기고 자신의 마음속에서 지워버리기로 결심한다.
2. 4. 파멸
에스메랄다를 향한 억눌린 욕망은 클로드 프롤로를 광기로 몰아넣었다. 그는 에스메랄다를 악마의 유혹이라 여기면서도, 그녀를 향한 뒤틀린 열정을 거부하지 못했다.[8] 콰지모도를 시켜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페뷔스에게 칼을 휘두르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보였다. 에스메랄다가 마녀로 몰려 재판을 받을 때, 그는 자해까지 하며 그녀에게 사랑을 증명하려 했지만, 에스메랄다의 마음을 돌리지는 못했다.[7]결국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군중에게 넘기기로 결심한다. 프랑스 왕가의 명령으로 에스메랄다가 성당에서 끌려나올 위기에 처하자, 그랭구아르와 함께 그녀를 탈출시키려 하지만, 사실 그 정체는 프롤로였다.[9] 그는 에스메랄다에게 자신을 받아들이거나 죽음을 택하라는 최후통첩을 던진다. 에스메랄다가 이를 거부하자, 프롤로는 그녀를 은둔자에게 넘기고 노트르담 대성당으로 돌아간다.
성당 탑에서 에스메랄다의 처형을 지켜보며 광기 어린 웃음을 터뜨리는 프롤로를 발견한 콰지모도는 분노하여 그를 밀어 떨어뜨린다.[10] 프롤로는 가고일에 매달려 콰지모도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콰지모도는 침묵한다. 결국 프롤로는 성당 아래로 추락하여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1]
3. 성격 및 특징
클로드 프롤로는 어린 시절 흑사병으로 부모를 잃고 동생 장과 함께 고아가 되었다. 이후 수도원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하여 부주교의 지위에까지 올랐지만, 차갑고 음침한 성격으로 사회와 단절된 삶을 살았다.[7] 그는 콰지모도를 거두어 키우는 등 인정적인 면모도 있었으나, 극심한 여성 혐오증을 가지고 있었다.[7]
프롤로는 직업상 독신으로 살아야 했지만, 이성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집시 여인 에스메랄다를 만난 후, 억눌렸던 욕망이 폭발하면서 파멸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악마의 유혹이라 여기면서도 그녀에게 집착하고, 페뷔스를 질투하여 칼로 찌르는 등 광기 어린 행동을 보인다.[8]
에스메랄다가 자신을 거부하자, 프롤로는 그녀를 군중에게 넘기고, 그녀가 처형당하는 모습을 보며 악마처럼 웃는다. 콰지모도는 프롤로의 악행을 깨닫고 그를 성당 난간에서 밀어 죽인다.[1]
3. 1. 학자로서의 면모
클로드 프롤로는 여러 학문에 통달한 지식인이었다. 몇 개 국어를 구사하고, 법학, 의학, 과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다.[7] 프랑스 르네상스의 여명기에 그는 존경받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자가 되었다.[1]프롤로는 연금술에도 관심을 가졌는데, 이 때문에 파리 사람들 사이에서 그가 마법사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7]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영어에서는 프롤로가 연금술에 심취하여 독방에서 연구에 몰두하는 모습이 묘사되기도 한다. 그는 운명론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독방에 방문한 사람이 거미줄에 걸린 파리를 구하려 하자 "운명이 실현되도록 내버려 두어라"라며 제지하기도 했다.[7]
3. 2. 이중적인 모습
클로드 프롤로는 겉으로는 독실한 성직자였지만, 속으로는 억눌린 욕망과 광기에 사로잡힌 인물이었다. 그는 에스메랄다를 향한 통제할 수 없는 욕정을 품게 되면서, 신앙과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7]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악마의 유혹이라고 여기면서도, 동시에 그녀에게 강렬하게 끌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는 에스메랄다를 납치하라고 콰지모도에게 명령하고, 페뷔스를 질투하여 칼로 찌르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8]
에스메랄다가 자신을 거부하자, 프롤로는 광기에 휩싸여 그녀를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이러한 프롤로의 행동은 그의 이중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는 성직자로서의 신념과 개인적인 욕망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결국 파멸에 이르게 된다.[1]
4. 평가 및 해석
클로드 프롤로는 흑사병으로 부모를 잃고 동생 장과 함께 고아가 되어 수도원에서 자랐다. 학문에 정진하여 부주교의 지위에 올랐으나, 에스메랄다를 향한 억눌린 욕망으로 인해 파멸에 이르는 인물이다. 콰지모도를 거두어 키우고, 수화를 가르치는 등 온정적인 면모도 지녔지만, 연금술에 심취하고 여성 혐오증을 보이는 등 사회적으로 고립된 인물이기도 했다.[7]
프롤로에 대한 평가 및 해석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평가 및 해석 |
---|
겉으로는 독실한 종교인이지만, 속으로는 세속적인 욕망에 휩싸인 이중적인 인물이다. |
평생 동안 자신의 욕망을 억누르며 살아왔으며, 수도사라는 신분과 사회적 제약이 그의 욕망을 억압했다. |
권력, 욕망, 위선이라는 주제를 통해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비추는 인물이다. |
4. 1. 종교적 위선 비판
클로드 프롤로는 겉으로는 독실한 종교인이지만, 속으로는 세속적인 욕망에 휩싸인 이중적인 인물이다. 그는 에스메랄다를 향한 욕정을 이기지 못하고, 그녀를 파멸로 몰아넣는다. 이러한 프롤로의 모습은 종교적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 하는 성직자의 위선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7][8]프롤로는 에스메랄다에게 구애가 실패하자, 그녀를 납치하려 하고, 페뷔스를 칼로 찌르기도 한다. 심지어 에스메랄다가 마녀로 몰려 재판받을 때, 자신의 사랑을 증명한다며 자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에스메랄다가 처형될 위기에 놓이자, 파리를 떠났다가 그녀가 살아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돌아와 질투심을 느낀다. 결국 프롤로는 에스메랄다를 군중에게 넘기고, 그녀가 교수형 당하는 모습을 보며 악마처럼 웃는다.[7][8][9]
4. 2. 억압된 욕망의 위험성
클로드 프롤로는 평생 동안 자신의 욕망을 억누르며 살아왔다. 수도사라는 신분과 사회적 제약은 그의 욕망을 억압했지만, 에스메랄다를 향한 그의 뒤틀린 열정은 결국 그를 파멸로 이끌었다.[7][8] 프롤로는 에스메랄다에게 사랑을 강요하고, 거부당하자 그녀를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콰지모도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는 프롤로의 비극적인 최후는 억압된 욕망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1][10]4. 3.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
클로드 프롤로는 권력, 욕망, 위선이라는 주제를 통해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비추는 인물이다. 특히 권력을 가진 남성이 지위를 이용해 성범죄를 저지르는 행태는 한국 사회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프롤로가 에스메랄다에게 가하는 끈질기고 뒤틀린 욕망[8]과 연결된다.프롤로의 위선적인 모습은 종교 지도자, 정치인 등 사회 지도층 인사들의 이중적인 행태를 떠올리게 한다. 겉으로는 도덕적인 척하지만 뒤로는 부정을 저지르는 모습은 국민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준다.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이러한 모습은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 정당이나 권위주의적인 권력자들을 비판하는 데 유용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진보 진영 인사들의 성추문이나 비리가 발생했을 때는 프롤로의 파멸을 개인적인 일탈로 해석하거나, 억압적인 사회 구조의 문제로 연결 지어 설명할 수도 있다. 프롤로가 겪는 내면 갈등과 파멸은 개인 문제이기도 하지만, 그를 옭아맨 종교적 억압과 사회적 고립[7]의 결과로 해석할 여지도 있다.
5. 각색
빅토르 위고의 소설 《노트르담 드 파리》는 영화, TV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각색 과정에서 클로드 프롤로의 캐릭터 묘사는 원작과 달라지기도 한다.
1923년 영화와 1939년 영화에서는 NAMPI의 13개 조항과 헤이스 프로덕션 코드의 영향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 성직자를 부정적으로 묘사할 수 없었다.[2][3] 이 때문에 클로드 프롤로는 악당이 아닌 선한 인물로 그려졌고, 그의 동생 쟝이 악역을 맡았다.
반면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클로드 프롤로가 원작처럼 악당으로 등장하지만, 판사이자 법무부 장관이라는 직책으로 각색되었고, 노트르담 대성당의 부주교는 별도의 인물로 등장한다.
몇몇 각색 작품에서는 쟝이 원작 소설과 같이 등장하기도 한다.
5. 1. 영화
1923년 영화에서는 NAMPI의 13개 조항 정책[2] 때문에 로마 가톨릭 교회 구성원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수 없어, 나이젤 드 브륄리에가 연기한 클로드 프롤로는 악당이 아닌 노트르담의 마음씨 좋은 부주교로 묘사되었다. 영화의 악당은 그의 남동생 쟝(브랜든 허스트 분)이었다. 1939년 영화에서도 헤이스 프로덕션 코드 정책[2][3] 때문에 비슷하게 쟝(서 시드릭 하드윅 분)은 루이 11세의 파리 대법관으로, 클로드(월터 햄프던 분)는 파리 대주교로 묘사되었다.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클로드 프롤로(토니 제이 목소리)가 파리의 판사/법무부 장관이자 소설처럼 악당으로 등장하며, 노트르담의 부주교는 완전히 다른 등장인물(데이비드 오그덴 스타이어스 목소리)로 묘사되었고, 쟝의 역할은 생략되었다.다음은 소설의 각색에서 클로드 프롤로를 연기한 배우들이다.
배우 | 버전 |
---|---|
클로드 게리 | 1911년 영화 |
월터 로 | 파리의 연인 (1917년 영화) |
아네슬리 힐리 | 에스메랄다 (1922년 영화) |
나이젤 드 브륄리에 | 1923년 영화 |
월터 햄프던[4][5][6] | 1939년 영화 |
알랭 퀴니 | 1956년 영화 |
제임스 맥스웰 | 1966년 만화 TV 쇼 |
케네스 헤이그 | 1977년 TV 쇼 |
데릭 자코비 | 1982년 TV 영화 |
론 해드릭 (목소리) | 1986년 애니메이션 영화 |
블라스타 브라나 (목소리) | 콰지모도의 마법 모험 (1996년 만화 TV 쇼) |
토니 제이 (목소리) |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
리처드 해리스 | 1997년 TV 영화 |
다니엘 라부아 | 노트르담 드 파리 (1997-2002 뮤지컬) |
리처드 베리 (세르주 프롤로 역) | 콰지모도 드 엘 파리스 (1999년 패러디 영화) |
케빈 도일 (목소리) | 2008년 BBC 라디오 각색 |
패트릭 페이지 | 2014-2015년 뮤지컬 |
다음 각색에서는 쟝이 소설에서 원래 묘사된 대로 등장했다.
- 1956년 영화 (모리스 사르파티가 연기).
- 1977년 영화 (데이비드 린툴이 연기).
- 2014-2015년 뮤지컬 (루카스 콜먼/제레미 스톨이 연기).
5. 2. 뮤지컬
1911년 영화에서 클로드 게리가 클로드 프롤로를 연기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배우들이 다양한 버전의 뮤지컬에서 클로드 프롤로 역을 맡았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배우 | 버전 |
---|---|
클로드 게리 | 1911년 영화 |
월터 로 | 파리의 연인 (1917년 영화) |
아네슬리 힐리 | 에스메랄다 (1922년 영화) |
나이젤 드 브륄리에 | 1923년 영화 |
월터 햄프던[4][5][6] | 1939년 영화 |
알랭 퀴니 | 1956년 영화 |
제임스 맥스웰 | 1966년 만화 TV 쇼 |
케네스 헤이그 | 1977년 TV 쇼 |
데릭 자코비 | 1982년 TV 영화 |
론 해드릭 (목소리) | 1986년 애니메이션 영화 |
블라스타 브라나 (목소리) | 콰지모도의 마법 모험 (1996년 만화 TV 쇼) |
토니 제이 (목소리) |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
리처드 해리스 | 1997년 TV 영화 |
다니엘 라부아 | 노트르담 드 파리 (1997-2002 뮤지컬) |
리처드 베리 (세르주 프롤로 역) | 콰지모도 드 엘 파리스 (1999년 패러디 영화) |
케빈 도일 (목소리) | 2008년 BBC 라디오 각색 |
패트릭 페이지 | 2014-2015년 뮤지컬 |
NAMPI의 13개 조항 정책[2]과 헤이스 프로덕션 코드 정책 때문에, 로마 가톨릭 교회 구성원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수 없었다.[2][3] 그래서 1923년 영화와 1939년 영화에서는 클로드 프롤로가 악당이 아닌 선한 인물로 묘사되었고, 그의 동생 쟝이 악당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1956년 영화, 1977년 영화, 2014-2015년 뮤지컬에서는 쟝이 원작 소설에 묘사된 대로 등장했다.
5. 3. 기타 각색
1923년 영화 각색에서는 NAMPI의 13개 조항 정책[2] 때문에 로마 가톨릭 교회 구성원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수 없었다. 따라서 나이젤 드 브륄리에가 연기한 클로드 프롤로는 악당이 아닌 노트르담의 마음씨 좋은 부주교로 묘사되었고, 영화의 악당은 그의 남동생 쟝(브랜든 허스트 분)이었다. 1939년 영화에서도 헤이스 프로덕션 코드 정책 때문에 비슷한 변화가 있었다.[2][3] 다만, 쟝(서 시드릭 하드윅 분)은 루이 11세의 파리 대법관으로, 클로드(월터 햄프던 분)는 파리 대주교로 묘사되었다.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클로드 프롤로(토니 제이 목소리)는 파리의 판사/법무부 장관이자 소설처럼 악당으로 등장하며, 노트르담의 부주교는 완전히 다른 등장인물(데이비드 오그덴 스타이어스 목소리)로 묘사되었고, 쟝의 역할은 생략되었다.다음은 소설의 각색에서 클로드 프롤로를 연기한 배우들이다.
배우 | 버전 |
---|---|
클로드 게리 | 1911년 영화 |
월터 로 | 파리의 연인 (1917년 영화) |
아네슬리 힐리 | 에스메랄다 (1922년 영화) |
나이젤 드 브륄리에 | 1923년 영화 |
월터 햄프던[4][5][6] | 1939년 영화 |
알랭 퀴니 | 1956년 영화 |
제임스 맥스웰 | 1966년 만화 TV 쇼 |
케네스 헤이그 | 1977년 TV 쇼 |
데릭 자코비 | 1982년 TV 영화 |
론 해드릭 (목소리) | 1986년 애니메이션 영화 |
블라스타 브라나 (목소리) | 콰지모도의 마법 모험 (1996년 만화 TV 쇼) |
토니 제이 (목소리) | 1996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
리처드 해리스 | 1997년 TV 영화 |
다니엘 라부아 | 노트르담 드 파리 (1997-2002 뮤지컬) |
리처드 베리 (세르주 프롤로 역) | 콰지모도 드 엘 파리스 (1999년 패러디 영화) |
케빈 도일 (목소리) | 2008년 BBC 라디오 각색 |
패트릭 페이지 | 2014-2015년 뮤지컬 |
다음 각색에서는 쟝이 소설의 원래 묘사대로 등장했다.
- 1956년 영화 (모리스 사르파티가 연기).
- 1977년 영화 (데이비드 린툴이 연기).
- 2014-2015년 뮤지컬 (루카스 콜먼/제레미 스톨이 연기).
참조
[1]
서적
The Hunchback of Notre-Dame
https://books.google[...]
Wordsworth Editions
1831
[2]
웹사이트
Notre Damned: With adaptations, fidelity is a virtue
http://www.ourdailyr[...]
2010-07-16
[3]
백과사전
The Hunchback of Notre Dame (1939)
https://www.britanni[...]
[4]
웹사이트
The-Hunchback-of-Notre-Dame
http://www.tcm.com/t[...]
2022-08
[5]
웹사이트
The Hunchback of Notre Dame (1939)
http://www.tcm.com/t[...]
[6]
웹사이트
Hunchbackofnotredame
http://homepages.sov[...]
2018-09-02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